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혈전의 개념 및 치료제

by 모도리.k 2021. 8. 9.

혈전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이야기하며 혈전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은 혈전증이라고 합니다. 느린 혈류나 혈류의 정체, 과다한 응고, 혈관 내피의 손상이나 염증이 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 종류 및 관련 질환

혈전은 혈액량이 많고 혈류 속도가 빨라 혈관 손상이 많아 손상된 상처 복구를 위해 백혈구와 혈소판이 응집해 생성되는 백색 혈전과 혈관의 압력이 적고 혈류 속도가 느려 혈액 속 혈소판과 혈액응고인자들이 고여 생성되는 적색 혈전이 있습니다. 백색 혈전은 동맥에서 발생하며 급성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과 관련이 있으며 항혈소판제가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적색 혈전은 정맥에서 발생하며 심방세동, 심부정맥 혈전증과 관련이 있고 치료제로는 항응고제가 사용됩니다. 각 혈전의 종류별로 유발하는 질환 및 증상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동맥 혈전증은 가슴통증, 호흡곤란, 의식 소실 등을 야기하는 급성 심근경색, 두통, 의식소실, 운동 이상, 감각이상, 성격 변화, 시력 저하, 간질 발작 등을 일으키는 뇌졸중, 호흡곤란, 가슴 통증, 의식 소실 등을 나타내는 폐 혈전증, 팔이나 다리의 통증, 창백해지거나 차가워지는 증상을 보이는 급성 말초동맥 폐쇄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정맥 혈전증이 유발하는 질환으로는 다리가 붓는 증상이나 다리 통증이 나타나는 심부정맥 혈전증, 복수나 전신이 붓는 증상을 나타내는 간문맥 혈전증, 혈뇨, 단백뇨, 소변량 감소 등을 보이는 급성 신장정맥 폐쇄증, 두통, 의식 소실, 운동 이상, 감각 이상, 성격 변화, 시력 저하, 간질 발작 등을 일으키는 뇌 정맥동 혈전증,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는 중심 망막정맥 폐쇄가 있습니다.

2. 혈전 치료제

혈액을 묽게 하여 혈전이 만들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약물인 항혈전제는 혈소판 응집을 방해하여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혈소판제와 혈액응고인자에 작용하여 혈전 생성을 차단하는 항응고제로 나뉩니다. 혈액은 혈관이 손상되어 혈관이 수축되면 혈소판이 내피세포에 부착되어 1차 지혈전을 형성하고, 혈액 응고인자가 활성화되어 섬유소가 생성되면 섬유소가 혈소판 사이를 채워 2차 지혈전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혈액이 응고됩니다. 이 과정에서 혈소판 활성화가 혈액 응고를 가속화시키는 과정인 혈소판 응집 단계에 관여하는 것이 항혈소판제로, 혈전 생성의 첫 번째 단계에서 혈소판이 응집되는 것을 막아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가집니다. 항응고제는 피브린(Fibrin) 활성화로 인해 완전한 혈액 응고가 되는 과정에 관여하여 단단한 섬유소가 혈소판 사이를 채워 혈액 응고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막아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가집니다. 항혈소판제와 항응고제의 종류 및 작용기전, 성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항혈소판제 중에서 혈소판의 응집을 촉진하는 트롬복산 A2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를 억제함으로써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는 COX 억제제(Cyclooxygenase inhibitors)에는 아스피린, 인도부펜, 트리플루살 성분 등이 해당하며 저용량 아스피린은 모든 혈관성 질환에서 혈전 예방 목적으로 1차 약제로 사용됩니다. PDE3 효소(Phosphodiesterase type 3)가 혈소판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인 cAMP(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를 분해하는 것을 억제하여 cAMP  수치를 증가시켜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는 기전을 가진 PDE억제제(Phosphodiesterase inhibitors)에는 실로스타졸과 디피리다몰 등이 있으며, 디피리다몰의 경우 아스피린과 함께 복합제로 사용됩니다. 클로피도그렐, 타클로피딘, 티카그렐러 등의 성분이 해당되는 ADP 수용체 길항제(Adenosine diphosphate receptor antagonists)의 경우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는 ADP(Adenosine DiPhosphate) 물질이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하는 것을 방해하여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기전을 가집니다. 그 외에도 당단백질(GP) IIb/IIIa 복합체에 피브리노겐 대신 결합하여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당단백질 IIb/IIIa 길항제(Glycoprotein IIb/IIIa antagonists)와 혈소판 응집에 관여하는 세로토닌이 혈소판과 혈관의 수용체(5-HT2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하는 것을 방해하여 혈소판 응집 및 혈관 수축을 억제하는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Serotonin receptor antagonists)가 있습니다. 항응고제에는 활성화된 응고인자(IX, X, XI, XII)와 트롬빈을 불활성화하고, 피브리노겐에서 피브린으로 전환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전을 가지는 헤파린 유도체가 있으며 미분획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K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비타민K를 필요로 하는 응고인자(VII, IX, X, II)의 활성을 억제하는 쿠마딘(와파린) 유도체에는 와파린 성분이 해당되며 복용이 편하고 값이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트롬빈에 직접 부착하여 트롬빈의 작용을 차단하는 직접 트롬빈 억제제와 응고인자 Xa를 선택적으로 저해하여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는 Xa 인자 억제제가 있으며, 직접 응고인자 억제제에는 리바록사반, 아픽사반, 에독사반 등이 대표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