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경병증성 통증의 원인 및 증상, 항전간제 종류 소개

by 모도리.k 2021. 7. 21.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은 통증을 지속시키는 기전이 중추신경계나 말초신경계의 체감각성 과정의 이상으로 기인된 어떤 종류의 급성 또는 만성 병적 통증 증후군입니다. 만성통증인 신경병증성 통증은 통각 수용성 통증이 3~6개월간 지속되어 중추 및 말초신경계에 이상이 생겨 자극이 없는데도 통증 신호가 뇌로 전달되어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신경병증성 통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약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신경병증성 통증의 원인 및 증상

신경병증성 통증의 원인은 외상, 감염(대상포진 후 신경통, AIDS 등), 대사성질환(당뇨병성 신경병증성 통증, 갑상선 기능 저하, 영양결핍), 종양, 혈관질환 등에 의한 말초 혹은 중추 통증 전달 신경의 병태 생리학적 변화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화끈거림, 칼로 찌르는 느낌, 벌레가 기어가는 느낌, 저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증상의 종류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자면 말을 하거나 음식을 먹을 때 얼굴 부위에 발생하는 통증인 삼차 신경통, 풍을 맞고 난 후에 팔다리가 저리고 시리고 쑤시는 뇌졸중 후 통증(중풍 통증), 교통사고 후 목의 통증, 복합부위 통증증후군, 대상포진이 치유된 부위 주변에 일어난 말초 신경 손상으로 인한 통증인 대상포진 후 신경통, 디스크 수술 후 지속되는 통증으로 나타나는 척추수술 후 통증, 일반적으로 발과 다리 또는 손과 팔에서 시작하는 당뇨병과 관련된 신경 손상인 당뇨병성 신경병증, 허리에서 다리로 뻗치는 통증인 요하지통이 있습니다. 자발통(spontanepus pain), 이상감각(paresthesia) 및 불유쾌한 이상감각(dysesthesia)은 비유발성 증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질통(allodynia), 통각과민(hyperalgesia)은 유발성 증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과거 병력, 이학적 검사, 실험실 검사,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항전간제의 작용기전 및 종류

신경병증성 통증 관련 약물로는 항전간제가 있습니다. 정상적인 생리적 상태에서 alpha2-delta 소단위는 안정화되어있고 낮은 활성도를 보이나 만성통증과 같은 병적 상태에서는 과활성화(overexpress)되어 전위 의존성 칼슘채널의 활동을 증가시킵니다. alpha2-delta 소단위는 의존성 칼슘채널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통증과 관련하여 치료제의 결합 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칼슘통로 alpha2-delta ligand는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 말단에 있는 전위 의존성 칼슘 채널의 alpha2-delta 소단위에 결합하여 칼슘 유입을 억제하여 노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 등의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과활성화된 신경통증 전달을 억제하여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항전간제 성분으로는 Gabapentin, Pregabalin, Duloxetine 등이 있습니다. Gabapentin의 binding site는 뇌 전반에 위치합니다. alpha2-delta1 subunit이 있는 전위 의존성 칼슘채널의 위치와 일치하며 칼슘채널은 시냅스 앞에 위치하여 간질, 통각을 일으키는 과정과 관련 있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약 80%는 소변으로 배출되며, 10% 정도는 변으로 배설됩니다. Pregabalin은 GABA 유사체로 중추신경계의 alpha2-delta부위(전위차 의존적 칼슘 채널의 아단위)에 강하게 결합하여 신경전달물질 방출을 억제함으로써 신경학적 통증과 발작 제어에 효과를 발휘합니다. 약 90% 이상이 소변으로 배출되며, 변으로는 약 0.1% 이하만 배설됩니다. Duloxetine은 신경계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차단하는 강력한 저해제이며 도파민 재흡수를 약하게 차단합니다. 무스카린성 아세트콜린, H1-히스타민, 혹은 alpha2-아드레날린 수용체에는 활성이 없으며, MAO 저해 활성도 없습니다. Duloxetine은 뇨 배출만 있습니다.